오늘은 청소년지도사 2급 면접 준비팁 4가지를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저는 2021년에 시험을 봐서 올해 2022년에 자격증 취득을 완료했습니다. 청소년지도사라는 자격증이 아주 널리퍼진 자격증은 아니라서 정보들이 부족해서 아쉬웠는데요. 오늘도 제가 찾아봤던 정보와 제가 겪은 정보들을 모아모아 여러분께 전달하겠습니다.
1. 절차
첫 번째는 청소년지도사 면접시험의 절차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방식 : 집단면접, 블라인드(이름x, 학력x)
(2) 인원 : 응시자는 보통 3명에서 많게는 5명이 1조로 응시
(3) 시간 : 1조당 15분 내외 짧게는 10분
(4) 면접위원 : 청소년분야 전문가 3명
(5) 평가항목 : 청소년지도사로서의 가치관 및 정신자세 / 용모, 예의, 품행 및 성실성 / 의사발표의 정확성 및 논리성 / 청소년에 대한 지식과 그 응용능력 / 창의력, 의지력 및 지도력
(6) 점수 : 면접위원 3인의 평정점수 합계를 평균하여 15점 만점에 10점 이상이면 합격.
(7) 탈락 : 면접위원 3인의 평점의 평균이 10점 미만인 경우 탈락.
(8) 과락 : 혹은 심사위원 중 2인 이상이 어느 한 항목에 1점 부과시 평균과 상관없이 탈락.
과락과 관련해서는 1점이 부과되는 항목이 생기면 절대적으로 불리하기 때문에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처음 시험장에 들어가면 공간이 분리되어 있어서 출입이 자유로운 공간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해당시간 예를 들어 1시부터 2시까지 시험을 보는 사람들은 감독관의 안내에 따라 다른 공간으로 이동합니다. 이후 시험에 대한 안내가 이뤄지고 본인확인과 함께 수험번호가 랜덤하게 주어지고 휴대폰 및 전자기기를 걷어갑니다.
받은 수험번호에 따라서 다시 분류를 합니다. 예를 들어 100부터 900번까지 중 3번대인 사람 즉, 103번, 203번...903번이 같이 안내 안내를 받습니다. 이 부분은 감독관 분들의 안내를 따라주시면 됩니다. 다만, 여러 숫자를 계속 섞는다는 점과 뭉쳐서 시험을 볼수 없게 만든다는 점만 인지하시면 되겠습니다.
면접장도 여러 방으로 분리가 되어있어서 다시 한 번 나눠지게 됩니다. 면접장에 들어가면 면접위원분들의 안내에 따라 면접을 보시면 됩니다. 공통질문, 꼬리질문(질문에 연결되는 질문), 추가질문, 질문에 시간을 주는지 등의 여부는 모두 면접위원들에게 달려있으므로 필요할 경우 예의있게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시는게 중요하겠습니다.
이 점은 변경가능한 사항으로 시험전에 공고를 다운받아서 확인해보시면 좋습니다.( 링크 )
2. 복장
복장은 특별한 제약을 두고 있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평가를 받는 자리이기 때문에 유의해서 복장을 갖추셔야겠습니다.
- 너무 화려하거나 튀는 복장
- 타인에게 불편을 줄수 있는 복장
- 깔끔하지 못한 복장
- 근무지를 특정할 수 있는 복장
마지막 부분은 공고에도 나와있는 것인데요. 간혹 청소년기관이나 관련 된 복장을 입고와서 어필을 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이럴경우에는 탈락입니다.
3. 답변
답변은 두괄식으로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첫 번째 이유는 면접식이기 때문에 떨리는 것이 보통입니다. 두 번째로 두괄식이여야 뒤쪽에 내용이 산으로 가도 듣는 사람입장에서는 "아 그래도 이해는 하고 있구나"하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질문을 다시 한 번 말하는 방법을 사용해보시면 좋습니다. 긴장을 한 상태에서 질문을 잘 이해하지 못하거나 심한 경우 듣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는데요. 입으로 다시 한 번 말함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제가 추천하는 답변은 아래와 같습니다.
#답변예시
질문 : 청소년지도사의 법적 정의에 대해서 설명해주시겠습니까?
답변 : 네. 청소년지도사의 법적 정의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청소년지도사는 청소년기본법 제21조에 따라 정의됩니다.
청소년지도사 시험에 합격하고 청소년지도사 연수기관에서 자격연수를 마친 사람을 말합니다.
그리고 청소년지도사는 XXX입니다. 또한 xxx라고 생각합니다.
4. 공부법
글을 읽는 여러분이 어떤 배경을 가지고 청소년지도사 면접을 준비하는 지는 제가 알수가 없어서 보편적으로 도움이 될만한 것들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첫 번째는 너무 당연하게도 관련 개념들을 잘 분류해서 정리하는 겁니다. 분류의 방법은 정말 다양합니다. 심리-활동-프로그램개발-청소년문화 등 과목에 따라 분류를 할 수도 있고 별도의 분류를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두 번째는 면접이기 때문에 단순 암기가 아니라 입으로 내뱉어봐야합니다. 단어가 입에 붙고 개념에 대한 설명을 여러번 반복하다가보면 수월하게 답변을 할 수 있을 겁니다.
세 번째는 면접상황을 시뮬레이션하는 겁니다. 면접위원분들은 대체로 40대 이상이라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어느정도 나이가 있는 분들과 대화도 나누지 못하고 평가를 받는 상황이 막연하게 편할 수는 없습니다. 유튜브에 검색해보시면 면접대비영상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것들을 활용해보는 것도 좋고 같이 공부를 하는 분들이 있다면 함께 공부를 해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여러분 모두 준비 잘하셔서 합격하시기를 기원하겠습니다.
오늘도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자격증 > 청소년지도사&관련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육성, 활동, 복지,보호 개념잡기 [청지사2급 3] (0) | 2022.04.01 |
---|---|
청소년의 연령 기준 [청지사 2급 2] (0) | 2022.03.23 |
청소년지도사 vs 사회복지사 vs 교사의 차이[청지사 2급 면접1] (0) | 2022.03.22 |
2022년 청지사 면접합격자 자격연수 신청방법! (0) | 2021.12.30 |
21년도 청소년지도사 2급 면접 합격! 후기&공부법&기출문제 (6) | 2021.1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