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청소년의 연령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청소년지도사 면접에서는 법령에 근거한 내용을 말씀하시는게 가장 정확합니다. 통념상 청소년의 연령은 초등학생 무렵부터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라고들 많이 이야기하는데요. 사실 법에는 다르게 명시되어 있습니다.
1. 법에서의 청소년의 연령
(1) 청소년기본법 ( 링크 )
- 청소년기본법 제3조(정의)에는 ["청소년이란 9세 이상 24세 이하인 사람을 말한다. 다만, 다른 법률에서 청소년에 대한 적용을 다르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따로 정할 수 있다.]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핵심 : 청소년기본법에서 청소년은 만9세 이상 24세 이하
(2) 청소년보호법 ( 링크 )
- 청소년보호법 제2조(정의)에는 ["청소년"이란 만19세 미만인 사람을 말한다. 다만, 만 19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을 맞이한 사람은 제외한다.]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핵심 : 청소년보호법에서 청소년은 만19세 미만. + 생일이 지나지 않아도 인정
2. 답변
청소년의 연령을 물어보거나, 특정법에 연령을 물어보는 경우 장황하게 대답할 필요가 없습니다. 연령기준을 외워간 다음에 그 숫자만 짧게 말씀하셔도 됩니다.
Q1) 청소년기본법 / 청소년보호법에서 청소년의 연령이 어떻게 되는지 알고 계신가요?
A1) 청소년기본법에서는 청소년은 만9세 이상 24세 이하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청소년보호법에서는 청소년을 만19세 미만으로 정의하며 생일이 지나지 않아도 1월 1일부터 인정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Q2) 청소년의 연령기준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A2) 청소년기본법에서는 청소년은 만9세 이상 24세 이하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청소년보호법에서는 청소년을 만19세 미만으로 정의하며 생일이 지나지 않아도 1월 1일부터 인정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렇게 법에 따라 청소년의 연령 정의를 다르게 하고 있고 이에 따른 서비스에도 연령기준이 다른 문제점이 있습니다.)
Q3) 청소년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A3) 청소년의 연령은 '블라블라'입니다. 또한 청소년기는 '블라블라'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청소년기는 질풍노도의 시기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청소년기의 전인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교과교육뿐만 아니라 전인적인 성장을 위한 청소년 활동도 함께 이뤄져야겠습니다.
간단하게 답변한다면 이런식으로 답변을 해볼 수 있겠습니다. 다만, Q3과 같은 답변은 연령기준만으로 대답하면 안됩니다. 청소년의 연령은 물론 심리개념들도 추가해서 대답해주셔야합니다.
3. 추가적인 청소년의 연령기준 서비스와 제도
연령기준을 외우실 때 이것들은 함께 외워두시면 도움이 될겁니다.
(1) 청소년증 ( 링크 )
청소년증은 청소년복지지원법 제4조에 의해 9~18세 사이에 발급할 수 있습니다. 발급주체는 '특별자치시장ㆍ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한다. 이하 같다)'입니다.
(2) 선거권
최근에 선거에서 청소년도 투표를 했는데요. 2019년부터 만18세부터 선거를 할 수 있게 개정이 됐습니다.
오늘은 청소년 연령기준들에 대해서 말씀드렸는데요. 관련된 법을 한 번은 꼭 읽어보시고 공부를 하시면 더 기억이 잘 날거 같습니다. 근로청소년부터 소년범 등 더 많은 연령기준이 있지만 그 부분들은 각각의 주제와 함께 다뤄볼까합니다.
궁금하신점이나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세요. 최대한 빠르게 수정하겠습니다.
오늘도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자격증 > 청소년지도사&관련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지도사 채용정보 찾기(청지사 취업 노하우 1편) (0) | 2023.01.23 |
---|---|
청소년육성, 활동, 복지,보호 개념잡기 [청지사2급 3] (0) | 2022.04.01 |
청소년지도사 vs 사회복지사 vs 교사의 차이[청지사 2급 면접1] (0) | 2022.03.22 |
청소년지도사 2급 면접 준비팁 4가지(절차, 복장, 답변, 공부법) (0) | 2022.03.20 |
2022년 청지사 면접합격자 자격연수 신청방법! (0) | 2021.12.30 |
댓글